치과 치료에서 충치나 손상된 치아를 복원할 때 사용하는 보철물은 크게 ‘인레이’, ‘온레이’, ‘크라운’으로 나뉩니다.
이 세 가지는 형태도, 치료 범위도, 재료와 제작 방법도 다릅니다.
치아 상태와 치료 목적에 맞는 최적의 선택이 중요하죠.
이번 글에서는 각 보철물의 특징과 차이점, 장단점을 자세히 비교해 드립니다.
1. 인레이 (Inlay)
① 정의
- 치아의 교합면(씹는 면)의 작은 충치나 손상 부위를 채우는 보철물입니다.
- 치아 표면 일부만 덮으며, 주로 치아 틈새나 홈에 끼워 맞춥니다.
② 적응증
- 충치가 심하지 않고, 치아 가장자리는 건강한 상태
- 치아 구조가 크게 손상되지 않은 경우
- 레진(플라스틱)이나 금속 수복물이 불가능한 부위
③ 재료
- 세라믹, 금속(금, 니켈 크롬 등), 복합레진 등
- 내구성 좋고 심미성도 우수한 세라믹이 많이 쓰임
④ 장점
- 치아 삭제량이 적음 → 자연치아 보존 우수
- 맞춤 제작으로 내구성 높음
- 치아와 정확히 맞아 세균 침투 최소화
⑤ 단점
- 충치 범위가 크면 적합하지 않음
- 제작과정 필요해 치료 기간 길어질 수 있음
2. 온레이 (Onlay)
① 정의
- 인레이보다 범위가 크고, 교합면 뿐 아니라 치아의 교합면과 일부 측면까지 덮는 보철물
- 부분 크라운이라고도 불림
② 적응증
- 치아 손상이 커서 교합면 일부와 측면까지 보호가 필요한 경우
- 크라운보다는 덜 침습적인 치료가 가능한 상황
③ 재료
- 세라믹, 금속, 레진 복합재료 등
④ 장점
- 치아 보존하면서 넓은 범위 보강 가능
- 크라운보다 치아 삭제량이 적음
- 강도와 심미성이 좋음
⑤ 단점
- 크라운에 비해 내구성은 약간 떨어질 수 있음
- 비용이 인레이보다 비싼 편
- 요새는 거의 하지 않음 - 크라운의 장점도 없고 인레이의 장점도 없이 애매한 포지션
3. 크라운 (Crown)
① 정의
- 치아 전체를 덮는 ‘씌우는 보철물’
- 신경 치료 후 약해진 치아 보호, 파절 예방, 기능 회복에 주로 사용
② 적응증
- 치아가 심하게 파절되었거나 마모된 경우
- 신경치료 후 치아가 약해진 경우
- 기존 보철물 탈락 또는 손상 시
- 심미적 개선이 필요한 앞니 치료
③ 재료
- 지르코니아, 세라믹, 금속, 금-도재 크라운 등 다양
④ 장점
- 치아 전체 보호로 내구성 매우 높음
- 심미성이 뛰어난 재료 선택 가능
- 다양한 치아 상태에 적용 가능
⑤ 단점
- 치아 삭제량이 많음 (2~3mm 이상)
- 제작 기간 필요
- 비용이 인레이/온레이보다 높음
4. 보철물 비교 요약표
항목인레이 (Inlay)온레이 (Onlay)크라운 (Crown)
치료 범위 | 교합면 작은 부위 | 교합면 + 일부 측면 | 치아 전체 |
치아 삭제량 | 적음 | 중간 | 많음 |
적응증 | 작은 충치, 미세 손상 | 중간 크기 손상, 부분 보호 필요 | 큰 손상, 신경치료 후 약해진 치아 |
재료 | 세라믹, 금속, 복합레진 | 세라믹, 금속, 복합레진 | 지르코니아, 세라믹, 금속, 금-도재 |
내구성 | 높음 | 높음 | 매우 높음 |
심미성 | 매우 우수 | 우수 | 우수 |
비용 | 가장 저렴 | 중간 | 가장 비쌈 |
치료 기간 | 1~2회 방문 | 1~2회 방문 | 2~3회 방문 |
5. 어떤 보철물이 내게 맞을까?
- 치아 손상이 작고 건강한 부위가 많으면 인레이 추천
- 조금 더 넓은 부위가 손상됐지만 전체 덮기는 부담스러우면 온레이
- 치아가 많이 부서졌거나 약해져 있다면 크라운이 안전하고 효과적
치과 전문의가 구강 상태와 생활 습관, 경제적 상황까지 고려해
가장 적합한 보철물을 제안해 줄 것입니다.
6. 보철물 관리법 공통 팁
- 매일 올바른 칫솔질과 치실·치간칫솔 사용
- 단단한 음식(견과류, 얼음 등)은 피하기
- 정기검진 및 스케일링으로 보철물과 잇몸 건강 점검
- 보철물 주변 치아에 충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
7. 마무리
인레이, 온레이, 크라운은 모두 치아를 살리고 기능을 회복하는 데 필수적인 보철물입니다.
각기 다른 범위와 역할을 이해하고, 나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치과 상담 시 적극적으로 궁금한 점을 물어보고, 신뢰할 수 있는 전문의와 함께 결정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