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경치료 받으신 분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말:
“치료했는데 왜 아직 아파요?”
“씹을 때 욱씬거려요…”
“신경을 뺐는데, 통증이 왜 있죠?”
치료 후 통증이 생기면 누구나 불안해지기 마련입니다.
"치료가 잘못된 건가?", "재치료 해야 하나?" 이런 걱정까지 이어지기도 하죠.
하지만! 신경치료 후에 생기는 통증은 대부분 정상적인 회복 반응입니다.
이 글에서는 환자들이 자주 묻는 통증 관련 질문들을 Q&A 형식으로 정리해드릴게요.
❓ Q1. 신경치료 후 왜 통증이 생기나요?
🦷 A. 신경을 제거했어도, 주변 조직은 여전히 ‘살아있기’ 때문입니다.
신경치료를 하면 치아 안쪽의 신경을 제거하지만,
치아를 둘러싼 잇몸, 뼈, 치주인대 등은 여전히 살아있고 민감한 상태입니다.
다음과 같은 이유로 통증이 생길 수 있어요:
- 기구로 근관을 청소하며 생긴 미세 손상
- 근관 밖으로 소독약이 조금 새어나간 경우
- 치아 뿌리 끝 염증이 아직 남아있어 회복 중인 경우
- 씹는 자극이 가해져 잇몸에 압력이 전달된 경우
✅ 이런 통증은 보통 1~3일 정도, 길면 1주일 내로 서서히 감소합니다.
❓ Q2. 어떤 통증은 정상이고, 어떤 통증은 이상한가요?
🦷 A.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!
눌렀을 때만 뻐근함 | ✅ | ❌ |
씹을 때만 찌릿함 | ✅ | ❌ |
자극 없을 땐 멀쩡함 | ✅ | ❌ |
점점 통증이 약해짐 | ✅ | ❌ |
통증이 점점 심해짐 | ❌ | ✅ |
밤에도 욱신거려 수면 방해 | ❌ | ✅ |
얼굴이 붓거나 열이 남 | ❌ | ✅ |
진통제로도 통증 조절 안 됨 | ❌ | ✅ |
📌 Tip: 통증이 점점 나아지고 있다면 정상, 점점 심해진다면 병원에 연락하세요!
❓ Q3. 씹을 때 아픈데 괜찮은 건가요?
🦷 A. 치료 후 며칠간은 씹는 자극에 예민할 수 있습니다.
신경치료 후엔 치아 내부가 비어 있다가 충전되기 때문에,
치아가 원래 구조보다 약간 탄성을 잃고 딱딱해진 상태예요.
- 씹는 힘이 그대로 잇몸으로 전달되면서
- 뿌리 주변 조직에 과민 반응이 생기기도 합니다.
이런 통증은 임시충전재 제거 후 크라운 등 보철을 하면서 대부분 사라집니다.
그전까진 가능한 한 치료한 쪽으로 씹지 않는 것이 좋아요.
❓ Q4. 신경치료 후 진통제는 꼭 먹어야 하나요?
🦷 A. 통증이 있다면 ‘예방적으로’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.
특히 1회차 치료 후 또는 근관 충전 직후에는 약간의 통증이 흔하게 나타나요.
그래서 치과에서는 보통 진통제(이부프로펜, 아세트아미노펜 등)를 같이 처방합니다.
진통제 복용 팁:
- 통증이 없어도 6시간 간격으로 하루 정도 복용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 됨
- 위장이 예민한 분은 식사 후에 드시기
- 통증이 심하면 병원에 연락해서 항생제 병용 처방 가능
📌 과도한 통증이라면 단순 진통제로 해결되지 않으니 병원과 꼭 상의하세요.
❓ Q5. 신경치료한 지 오래됐는데 다시 아파요. 왜죠?
🦷 A. 재감염, 치아균열, 보철 문제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.
신경치료 후 수개월~수년이 지난 뒤에도 통증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.
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근관 충전 불완전 → 세균 재감염
- 씌운 보철물 틈새로 미세 누출
- 치아 뿌리에 금이 간 경우
- 심한 교합압으로 인해 치주인대 손상
이럴 땐 단순히 진통제로 버틸 수 없고,
✅ 재신경치료 또는 발치 후 대체치료(임플란트 등)까지 고려해야 합니다.
❓ Q6. 신경치료 후 얼굴 붓거나 고름이 나왔어요. 큰일인가요?
🦷 A. 심한 감염이 진행 중일 수 있으니, 즉시 병원으로 오세요!
이런 증상은 치근단 농양 혹은 치조골 감염이 의심됩니다.
- 뿌리 끝 염증이 심해져 고름 주머니 형성
- 통증과 함께 얼굴 붓기, 열감 동반
- 누르면 고름이 배어나오거나 잇몸이 부풀어 오름
📌 절대 자가 치료하지 마세요.
절개 후 배농, 항생제 투여, 재신경치료 또는 발치까지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.
신경치료 후에 생기는 통증은 정상적인 회복 반응일 수 있어요.
단, 시간이 지나도 점점 심해지거나, 붓고 열이 나면 빨리 병원으로 오셔야 합니다.
치료 도중에도 궁금한 점은 편하게 말씀해주세요. 치과는 함께 치료하는 곳이니까요. 🙂