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염과 역류성 식도염, 어떻게 다를까? 증상부터 치료까지 확실한 비교
속쓰림, 더부룩함, 명치 통증…
우리가 일상적으로 겪는 이런 증상들, 대체 위염일까? 아니면 역류성 식도염일까?
두 질환은 증상이 비슷해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지만, 실제로는 원인도 다르고 치료법도 다릅니다.
오늘은 위염과 역류성 식도염의 차이점, 정확한 증상 구분법, 치료와 예방법까지 확실하게 정리해볼게요.
📌 위염 vs 역류성 식도염, 간단 비교표
항목위염역류성 식도염
발생 위치 | 위 점막 | 식도 하부 |
주요 원인 | 헬리코박터, 자극성 음식, 스트레스 | 하부식도괄약근 약화, 위산 역류 |
대표 증상 | 더부룩함, 구역, 식욕부진 | 속쓰림, 신물, 누우면 악화 |
검사 방법 | 내시경, 헬리코박터 검사 | 내시경, 식도산도검사 |
치료 접근 | 점막 보호 + 원인제거 | 위산 억제 + 생활습관 교정 |
🧠 위염이란?
**위염(Gastritis)**은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
염증의 원인은 다양하며,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어요.
원인
-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
- 음주, 흡연, 자극적인 음식
- 진통제(NSAIDs), 아스피린 복용
- 스트레스, 불규칙한 식사
증상
- 명치 통증
-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되는 느낌
- 식욕 감소
- 구토 또는 구역질
- 때론 무증상인 경우도 있음
🔥 역류성 식도염이란?
**역류성 식도염(GERD)**은 위 내용물(특히 위산)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.
원인
- 하부 식도 괄약근(LES)의 약화
- 복압 증가(비만, 임신, 과식)
- 식도 운동 장애
- 식후 바로 눕는 습관
- 커피, 술, 초콜릿 등 괄약근 이완 유발 음식
증상
- 가슴 부위가 타는 듯한 속쓰림 (heartburn)
- 신물이 올라오는 느낌 (산역류)
- 목 이물감, 마른기침
- 식사 후 또는 누웠을 때 악화됨
🎯 두 질환의 핵심 차이점 정리
구분위염역류성 식도염
통증 위치 | 명치 중심 | 가슴 중앙~목까지 타는 느낌 |
식사 영향 | 식사 후 더부룩 | 식사 후 속쓰림, 트림 |
수면 시 영향 | 크게 없음 | 누우면 증상 악화 |
트림, 신물 | 드묾 | 잦은 신트림, 신물 |
식도 통증 | 없음 | 삼킬 때 따끔하거나 쓰림 |
구취 | 드묾 | 산성 구취 자주 발생 |
🧪 진단 방법
위염
- 위내시경 검사
- 헬리코박터균 검사(조직검사, 호기검사 등)
역류성 식도염
- 위내시경: 식도 하부의 염증 여부 확인
-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
- 식도 내압 검사 (LES 기능 확인)
💊 치료 방법의 차이
위염 치료
- 헬리코박터균 감염 시 → 항생제 2종 + 위산억제제 병합 요법
- 위점막 보호제: 알마겔, 겔포스 등
- 위산 억제제: PPI (오메프라졸, 에스오메프라졸)
- 식습관 조절: 자극적인 음식 줄이기, 금주 등
역류성 식도염 치료
- PPI는 기본 (4~8주 단위로 복용)
- 필요시 제산제, 위장운동 촉진제 추가
- 수면 시 상체 올리기,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
- 체중 감량 및 생활습관 개선이 매우 중요
🧘 예방 및 생활 습관 팁
공통 예방법
- 규칙적인 식사
- 자극적 음식 줄이기 (매운 음식, 튀김, 초콜릿 등)
- 음주, 흡연 줄이기
- 스트레스 관리
역류성 식도염 특화 팁
- 식후 2~3시간 이내 눕지 않기
- 수면 시 머리 높이기
- 꽉 끼는 옷 피하기
- 체중 조절 (특히 복부 비만)
❗ 위염과 역류성 식도염, 동시에 있을 수도 있을까?
충분히 가능합니다.
특히 위산이 과다한 경우, 위 점막과 식도 점막을 동시에 자극하면서 위염 + 역류성 식도염이 함께 발생할 수 있어요.
이럴 땐 단순히 제산제만 먹는 게 아니라, 식습관과 생활 전반적인 조절이 함께 이뤄져야 효과가 있습니다.
🧾 정리하자면
항목위염역류성 식도염
통증 위치 | 명치 안쪽 | 가슴 부위~목으로 타는 느낌 |
증상 | 더부룩함, 식욕부진, 구역 | 속쓰림, 신물, 목 이물감 |
유발 원인 | 헬리코박터, 자극 음식, 약 | 위산 역류, 괄약근 약화 |
치료 | 위 보호제 + 항생제 (필요 시) | PPI + 자세 조절 + 식습관 개선 |